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treamlit
- Python
- spark
- Redshift
- milvus
- airflow
- javascript
- airflow설치
- dockercompose
- MSA
- pySpark
- aiagent
- jmx-exporter
- SQL
- ubuntu
- 설치
- BigQuery
- metadabatase
- vectorDB
- RAG
- hadoop
- amazonlinux
- Dag
- sparkstreaming
- grafana
- 오블완
- prometheus
- kafka
- docker
- 루프백주소
Archives
- Today
- Total
데이터 노트
[JavaScript] 속성, 메소드, 생성자, 프로토타입 본문
기본적인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듯하여, 각각의 정의를 다시금 정리하게 되었다.
속성(프로퍼티)
- property
- 객체 내부에 있는 값이며, 객체는 프로퍼티로 구성됨
cf) 배열 내부에 있는 값은 요소
- 속성은 모든 자료형을 가질 수 있음
메소드
- method
- 객체의 속성 중, '함수 자료형' 속성일 경우 메소드라고 함
생성자
- constructor
-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함수를 생성자라고 함
- 생성자를 사용할 경우, 생성자 내에서 객체의 프로퍼티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할 경우 객체에 대한 초기화가 이루어짐
-> 코드에 대한 재사용성이 대폭 높아짐.
- 예시
function Animal(animal){
this.animal = animal;
this.say = function(){
return "I like" + this.animal;
}
}
// new + 함수가 오면 객체를 생성하며, 이 때 Animal 함수는 생성자가 된다.
var a1 = new Animal('dog');
a1.say();
//I like dog.
var a2 = new Animal('cat');
a2.say();
//I like cat
프로토타입
- prototype
- 객체의 원형
- 프로토타입 내에는 어떠한 객체가 저장되어 있고, 저장된 속성들은 생성자를 통해 객체가 생성될 때 그 객체에 연결됨 (prototype chain)
각각의 기본개념의 연계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사용하도록 하자.
기본 개념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코드를 작성하면서 각각의 요소들의 용어와 활용에 대해 생각하기.
참고자료
MDN
※잘못된 정보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ginx] Amazon Linux EC2에서 nginx 서버 정보 제거를 위한 모듈 설정 (2) | 2024.10.09 |
---|---|
WS 와 WAS 의 차이 (0) | 2023.02.10 |
[JavaScript] querySelector 과 querySelectorAll 의 차이 (0) | 2022.06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