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milvus
- Dag
- spark
- jmx-exporter
- 설치
- Streamlit
- airflow설치
- pySpark
- vectorDB
- hadoop
- aiagent
- airflow
- grafana
- RAG
- prometheus
- metadabatase
- 오블완
- SQL
- docker
- Python
- dockercompose
- sparkstreaming
- amazonlinux
- 루프백주소
- kafka
- javascript
- Redshift
- ubuntu
- MSA
- BigQuery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알고리즘 (1)
데이터 노트
[알고리즘] 선택정렬 / 같은 빅오 표기법 다른 효율성
빅 오 표기법은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.하지만 유일한! 도구는 아니라는 것.한 알고리즘이 다른 알고리즘보다 더 빠른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곤 하는데,이 케이스의 예로는 버블 정렬과 선택 정렬이 있다.여기에서는 선택 정렬에 대해 정리한다.선택 정렬 (Selection Sort)수행 단계선택 정렬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른다.배열의 각 셀을 끝까지 이동하며 어떤 값이 최솟값인지를 확인.그 값의 인덱스를 변수에 저장한다.배열 끝까지 이동하여 최솟값을 확인하고 나면, 시작한 인덱스의 값과 최솟값을 교환한다.(만약 시작한 인덱스의 값이 최솟값인 경우, 즉 그대로인 경우 교환 없이, 다음 인덱스로 이동하여 위의 단계를 수행한다.)여기서 마지막에 위치한 값은 따로 단계..
Insights
2023. 2. 10. 13:19